[수주] 공공저작물 운영 사업
공공저작물
사이트 운영 및
기능 고도화

디지털 전문 서비스 기업 PCN(대표이사 송광헌, www.pcninc.co.kr)은 한국문화정보원(원장 김소연)이 주관하는 ‘2016년 공공저작물 사이트 운영 및 기능 고도화 사업’을 수주했다고 21일 밝혔습니다.
2.2억 원 규모의 본 사업은 공공저작물 메타정보 수집시스템 운영 및 개선, 공공저작물 포털 운영 및 연계 데이터 서비스 품질 강화, 공공저작물 관리기능 고도화 및 사이트 이용환경 개선의 목적을 두고 2016년 12월 15일까지 사업을 진행합니다.
사업의 주요 내용으로 ▲2015년도 수집한 정보 500만 건의 전수조사를 통한 데이터 품질 관리/개선 ▲700만 건의 누적 수집 정보 달성을 위한 수집 대상 확충 ▲공공누리(http://www.kogl.or.kr) 사이트 기능 강화 ▲공공저작권 신탁관리시스템(http://www.alright.or.kr) 사이트 기능 강화 ▲공공누리 사이트 내 공공저작물 개방지원시스템 연계관리 기능 통합구축 ▲신탁서비스 유통관리시스템 고도화 ▲웹 접근성 개선을 통한 WA 인증 획득 등이 진행됩니다.
[수주] 문화데이터 국민 공유 활성화

PCN은 한국문화정보원(원장 김소연)이 주관하는 ‘맞춤형 문화데이터 개방 및 국민 공유 활성화’ 사업을 수주했다고 16일 밝혔습니다.
10억 원 규모의 본 사업은 이용자 맞춤형 산업 활용 문화데이터 구축, 문화데이터 우수사례 발굴 및 대국민 홍보, 문화데이터 활용도 증대의 목적을 두고 2016년 12월까지 사업을 진행합니다.
사업의 주요 내용으로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한국형 산업 활용 문화데이터 구축 ▲‘문화포털’ 사이트 국민생활형 문화데이터 구축 ▲ 문화데이터 홍보 및 활용기업 컨설팅 지원 ▲문화데이터 활용기업을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 및 만족도 조사 ▲문화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문화데이터광장’ 사이트 이용 개선 ▲ 맞춤형 Open API를 활용한 민간협업 융·복합 문화서비스 개발 ▲융·복합 문화데이터 정보연계 확대 ▲문화데이터의 체계적 연계, 운영, 관리 등이 진행됩니다.
본 사업은 2011년부터 진행된 사업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소속기관 및 기타 정부부처와 지자체 등 139개 기관 6,700만 건의 문화데이터가 수집되어 있고, 303종의 Open API로 문화데이터광장(http://www.culture.go.kr/data)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수주] 문화재청 문화유산 DB

PCN은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이 주관하는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16일 밝혔습니다.
본 사업은 전국 각지 분포된 문화유산의 3차원(3D) DB 구축(64건/75점)과 문서, 보고서, 도면 등 기록물 DB 구축(9,120권)을 주요로, 문화유산에 대한 부처 간 공동관리 기반 조성과 문화유산 3.0 정책의 내실화에 목적을 두고 2016년 11월 30일까지 사업을 진행합니다.
사업의 주요 내용으로 ▲문화유산 3차원 촬영 후 3D 프린팅 가능 데이터 구축 ▲문화유산 홍보 활용 동영상 제작 ▲문화재청 간행물에 대한 PDF 제작 및 데이터 구축 ▲문화유산의 조사, 복원, 보수 관련한 이미지의 파일화 ▲DB 구축 데이터 유관시스템 업로드 ▲유관기관 연계를 위한 DB 제공 및 기술지원 등이 진행됩니다.
[수주] 국민참여형 문화정보서비스

PCN은 한국문화정보원(원장 김소연)이 주관하는 ‘2016년 국민참여형 문화정보서비스 활성화 및 운영관리’ 사업을 수주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약 3억 원 규모의 본 사업은 문화융성 실현을 위한 서비스 운영사업, 문화정보 서비스 개선 및 관리 기능 개선 등의 사업을 통해 ‘문화포털(www.culture.go.kr)’의 서비스 품질향상을 목표로 2016년 12월 31일이 까지 진행하게 됩니다.
주요 내용으로 ▲영문페이지 연계를 위한 영문 안내 페이지 제작 ▲문화포털 기반 주요 문화정책 및 행사 통합 서비스 지원, ▲2중 인증 로그인 체계 개선 ▲주소데이터의 새로운 주소 체계 개선, ▲연계 콘텐츠 제공 시스템 기반 조성 ▲모바일 디바이스를 고려한 서비스 운영 ▲웹진 메일 발송 자동화 개선 ▲문화포털 내 연계사이트 링크 페이지 개선 ▲문화데이터광장 활용 방안 개선 ▲공공문화정보를 활용한 신규 서비스 및 콘텐츠 개선 등이 진행됩니다.
SK플래닛 상생혁신센터 온라인사이트 고도화
상생혁신센터
고도화
프로젝트


01
꿈과 아이디어를 가진 이들의 창업과 성장을 지원하는 상생혁식센터
상생혁신센터 프로젝트는 홍보와 접수를 할 수 있는 채널을 만드는 것과 스타트업 성공사례를 통한 대외적 홍보로 스타트업 희망자들이 관심과 신청을 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02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스타트업 희망자 지원 프로젝트
상생혁신센터의 취지가 예비 스타트업에 대한 멘토링과 지원이니만큼 스마트폰 환경 분야의 창업을 준비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프로그램은 7개월에 한 번씩 기수를 받고 있으며 총 10개 팀 6개월간의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으로 진행됩니다.

03
창업 선배들의 생생한 현장 모습
생생하고 현장감 있는 분위기를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 실제 현장을 촬영하여 반영하였습니다. 한정된 공간과 제한적인 시간 내에 촬영을 진행해야 했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지만, 베테랑 작가와 고객사의 적극적인 협조로 잘 진행되었습니다.
- MEMBERS
- 허순영 조성익 김지은 김재선 전미란
말산업 포털 호스피아 개편 프로젝트
호스피아 개편
프로젝트


01
국민에게 말 산업 관련 정보를 쉽게 제공하고자 제작된 사이트 호스피아
말 산업에 대한 국민의 이해 증진과 참여 확대를 위해 먼저, 승마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고, 단계별로 말 산업 전반에 대한 콘텐츠를 보강하고 확대했습니다. 한편 모바일 기능을 강화하여 누구나 말 산업 관련 정보를 쉽게 접하도록 제작해 말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승마 대중화를 이끌었습니다. 호스피아에서는 정국 승마장 소개, 승마체험 프로그램, 말 산업의 개념 및 동향에 대한 소개, 승마장 설치 및 운영 매뉴얼, 승용마, 승마장, 승마교관, 병원, 장제소(말발굽에 편자를 달아주는 장소) 등 말 산업 통계 DB 구축을 통한 검색, 조회 기능, 검색 서비스, 말 유통 및 쇼핑몰 정보로 구성되어 있고, 승마와 관련한 모든 정보를 한곳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02
수요자와 실무자에게 제공되는 흥미로운 특징
수요자에게는 흥미와 재접속 경험을 유발하고, 실무자에게는 업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곳을 제공하는 것이 호스피아 프로젝트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더불어, 소비자 중심 콘텐츠와 말산업 관계자 업무 편의성을 호스피아에서 제공함으로써 Interesting과 Valuable을 디자인에 녹여내는 데 주력하였습니다.

03
콘텐츠, 말산업, 모바일 3가지 요소를 강조한 기획
호스피아는 3가지 요소를 강조하여 기획하였습니다. 첫 번째, ‘콘텐츠’로 참여 공간 확대, 커뮤니케이션 강화 신청/관리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두 번째, ‘말산업’으로 말산업 통계 제공, 자격&능력 관리 강화했습니다. 세 번째, ‘모바일’로 통계정보 제공, 검색/체험/출석 구현, 어린이 콘텐츠/관리기능 구현을 기준으로 일반사용자와 말산업 관계자들의 이용 목적에 맞도록 콘텐츠와 UI를 제공해 사용자가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 MEMBERS
- 김동헌 박우석 조진수 류홍미 전미란 이창호 김선란 송효진 김재선 김보선 조영인 외
SK테크엑스 홈페이지 구축 프로젝트
홈페이지 구축
프로젝트


01
플랫폼 전문기업 SK테크엑스를 알리기 위한 첫 시작, SK테크엑스 신규 홈페이지 구축 프로젝트
SK테크엑스는 SK텔레콤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추진 중인 플랫폼 사업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본격 출범된 플랫폼 전문 기업입니다. 일상 속에서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서비스 고도화, 플랫폼 혁신 및 발굴 등의 노력을 이어갈 예정인데요. 출범 초기 단계인 만큼 SK테크엑스의 정체성, 사업 영역, 비전 등을 고객에게 어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진행된 SK테크엑스 신규 홈페이지 및 모바일웹 구축을 PCN이 진행했습니다. 이번 구축 프로젝트는 사용자에게 SK테크엑스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하고, 사업 영역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티저 페이지 오픈, PC웹 및 모바일웹 구축, 영문 페이지 구축, 관리자 페이지 Tool 개발 등의 과업을 수행했습니다.

02
아이덴티티를 투영한 감성적 이미지 활용, 톡톡 튀는 애니메이션 효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다
먼저 핵심 이미지를 통해 기업의 브랜드를 일관성 있게 제시함으로써 브랜드 정체성을 강조했습니다. Star를 모티브로 한 백그라운드 이미지는 SK테크엑스의 핵심전략, 비전, 미래의 기업가치를 보여줍니다. 새로운 기업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해 완성도 높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적용했고, 메인에서 서브 페이지로 이어지는 인터렉션은 사용자에게 색다른 인터넷 경험을 선사합니다. 이 외에도 타이포와 플랫폼 UI, 컬러 등에서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하되, 사각 블록들은 마우스 스크롤과 키보드를 통해 장면 전환 효과(Transition)를 줌으로써 SK테크엑스의 아이덴티티를 강화하면서도 사용자로 하여금 단조로운 느낌을 없애고자 했습니다.

03
사용자를 고려한 특별한 서비스! SK테크엑스 티저, 채용, 영문 페이지
SK테크엑스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이용환경을 제공하고자 하였습니다. 홈페이지 오픈 전에는 기대감을 높이기 위해 도메인을 우선 확보하여 티저 사이트를 개설했습니다. 티저 사이트를 통해 기업의 방향성, 주요 메시지를 간략히 소개하고, 오픈 일정을 공지했습니다. 당시 협의 중이던 채용 사이트는 사용자에게 숨기기보다 관련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우회 루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높였습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바이어와 소비자를 위한 영문 페이지도 오픈했습니다. 기존 국문 페이지의 구조와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한 채, 영문으로 제작된 다국어 사이트는 앞으로 SK테크엑스의 도약과 브랜드 수준을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 MEMBERS
- 고영철 서유리 김지은 류홍미 김현진 김보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