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igation
Tag archives for:

한국문화정보원

2016년 공공저작물 사이트 운영 및 기능 고도화 사업 썸네일

[수주] 공공저작물 운영 사업


[수주] PCN,
공공저작물
사이트 운영 및
기능 고도화
PCN은 공공저작물에 대한 사이트인 공공누리와 공공저작권 신탁관리시스템에 대한  운영과 기능 고도화를 통해 한국문화정보원의 가치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2016년 공공저작물 사이트 운영 및 기능 고도화 사업관련 대표 이미지 모바일과 PC 디바이스 배경으로 표현

디지털 전문 서비스 기업 PCN(대표이사 송광헌, www.pcninc.co.kr)은 한국문화정보원(원장 김소연)이 주관하는 ‘2016년 공공저작물 사이트 운영 및 기능 고도화 사업’을 수주했다고 21일 밝혔습니다.

2.2억 원 규모의 본 사업은 공공저작물 메타정보 수집시스템 운영 및 개선, 공공저작물 포털 운영 및 연계 데이터 서비스 품질 강화, 공공저작물 관리기능 고도화 및 사이트 이용환경 개선의 목적을 두고 2016년 12월 15일까지 사업을 진행합니다.

사업의 주요 내용으로 ▲2015년도 수집한 정보 500만 건의 전수조사를 통한 데이터 품질 관리/개선 ▲700만 건의 누적 수집 정보 달성을 위한 수집 대상 확충 ▲공공누리(http://www.kogl.or.kr) 사이트 기능 강화 ▲공공저작권 신탁관리시스템(http://www.alright.or.kr) 사이트 기능 강화 ▲공공누리 사이트 내 공공저작물 개방지원시스템 연계관리 기능 통합구축 ▲신탁서비스 유통관리시스템 고도화 ▲웹 접근성 개선을 통한 WA 인증 획득 등이 진행됩니다.


2016년 맞춤형 문화데이터 개방 및 국민 공유 활성화 사업 썸네일

[수주] 문화데이터 국민 공유 활성화


[수주] PCN, 맞춤형 문화데이터 개방 및 국민 공유 활성화
PCN은 문화데이터 구축, 홍보, 활용도 증대를 통해 한국문화정보원의 가치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2016년 맞춤형 문화데이터 개방 및 국민 공유 활성화 사업관련 대표 이미지 모바일과 PC 디바이스 배경으로 표현

 PCN은 한국문화정보원(원장 김소연)이 주관하는 ‘맞춤형 문화데이터 개방 및 국민 공유 활성화’ 사업을 수주했다고 16일 밝혔습니다.

10억 원 규모의 본 사업은 이용자 맞춤형 산업 활용 문화데이터 구축, 문화데이터 우수사례 발굴 및 대국민 홍보, 문화데이터 활용도 증대의 목적을 두고 2016년 12월까지 사업을 진행합니다.

사업의 주요 내용으로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한국형 산업 활용 문화데이터 구축 ▲‘문화포털’ 사이트 국민생활형 문화데이터 구축 ▲ 문화데이터 홍보 및 활용기업 컨설팅 지원 ▲문화데이터 활용기업을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 및 만족도 조사 ▲문화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문화데이터광장’ 사이트 이용 개선 ▲ 맞춤형 Open API를 활용한 민간협업 융·복합 문화서비스 개발 ▲융·복합 문화데이터 정보연계 확대 ▲문화데이터의 체계적 연계, 운영, 관리 등이 진행됩니다.

본 사업은 2011년부터 진행된 사업으로 문화체육관광부 소속기관 및 기타 정부부처와 지자체 등 139개 기관 6,700만 건의 문화데이터가 수집되어 있고, 303종의 Open API로 문화데이터광장(http://www.culture.go.kr/data)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2016년 국민참여형 문화정보서비스 활성화 운영관리 사업 썸네일

[수주] 국민참여형 문화정보서비스


[수주] PCN, 국민참여형 문화정보서비스 활성화 및 운영관리
PCN은 문화포털의 서비스 품질향상을 목표로 서비스 운영과 관리 기능 개선을 통해 한국문화정보원의 가치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겠습니다.
2016년 국민참여형 문화정보서비스 활성화 운영관리 사업관련 대표 이미지 모바일과 PC 디바이스 배경으로 표현

 PCN은 한국문화정보원(원장 김소연)이 주관하는 ‘2016년 국민참여형 문화정보서비스 활성화 및 운영관리’ 사업을 수주했다고 9일 밝혔습니다.

약 3억 원 규모의 본 사업은 문화융성 실현을 위한 서비스 운영사업, 문화정보 서비스 개선 및 관리 기능 개선 등의 사업을 통해 ‘문화포털(www.culture.go.kr)’의 서비스 품질향상을 목표로 2016년 12월 31일이 까지 진행하게 됩니다.

주요 내용으로 ▲영문페이지 연계를 위한 영문 안내 페이지 제작 ▲문화포털 기반 주요 문화정책 및 행사 통합 서비스 지원, ▲2중 인증 로그인 체계 개선 ▲주소데이터의 새로운 주소 체계 개선, ▲연계 콘텐츠 제공 시스템 기반 조성 ▲모바일 디바이스를 고려한 서비스 운영 ▲웹진 메일 발송 자동화 개선 ▲문화포털 내 연계사이트 링크 페이지 개선 ▲문화데이터광장 활용 방안 개선 ▲공공문화정보를 활용한 신규 서비스 및 콘텐츠 개선 등이 진행됩니다.


산업 활용 중심 문화데이터 구축 용역 사업 썹네일

산업 활용 중심 문화데이터 구축


산업 활용
중심의
문화데이터
구축 용역
본 프로젝트는 1인 창조기업, 프로슈머 등 다품종•소량생산 체계의 제조업 패러다임에 맞는 산업 활용 중심 문화데이터를 구축한 사업입니다.
URL
www.culture.go.kr/industry/content3dList.do
SECTION
공공
CLIENT
한국문화정보원
OPEN
2016.01
산업 활용 중심 문화데이터 구축(문화포털)

01
우리 고유의 문양을 활용도 높은 문화데이터로 제공하다
본 서비스는 우리나라 고유의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문양을 활용도 높은 3D 프린팅 DB로 구축하여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및 신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활용지원체계를 목표로 기획됐습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민간분야 전반에서 이용 수요가 높은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재와 민속생활용품 등의 원천자료를 수집하여, 실질적인 3D 프린팅 DB로 구축함으로써 보다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습니다.


02
산업 활용 중심 문화데이터의 기대 효과
활용도 높은 문화재 3D 프린팅 데이터가 제공되면서 체험, 교육, 산업계에서의 활발한 소스 활용이 예상됩니다. 일반사용자 요구(needs)에 충족하는 지식정보 공유 및 활용은 물론 문화, 예술, 사회 등 다각적 교육 자료로 활용되면서 문화 관련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MEMBERS
윤종헌 송효진 김선란 고은희
문화포털 썸네일

한국문화정보원 문화포털 운영 및 유지관리


2015년
국민 체감형
문화정보서비스
운영 및 유지관리
문화포털은 문화체육관광부를 비롯 해당 소속기관, 산하단체, 공공 및 민간의 문화 분야 기관 • 단체 등에서 제공하는 문화예술, 문화유산, 문화산업, 관광, 체육, 도서관, 여건조성 등 다양한 문화지식정보를 One-Stop으로 제공하는 온라인 사이트입니다.
URL
www.culture.go.kr

SECTION
공공
CLIENT
한국문화정보원
OPEN
2016.01
pf_img_work_01

문화포털 문화지식 분야별 페이지

01
대국민 문화 정보 이용 활성화 사이트, 문화포털
국민이 누리는 문화, 문화•예술 진흥, 문화와 산업의 융합을 통한 ‘문화융성’ 그리고 국민 행복과 국가발전이 선순환하는 국가 발전 체계를 위한 대국민 문화정보 이용 활성화가 본 프로젝트의 주요 목적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포털 리뉴얼을 진행했으며, 모든 국민이 문화포털을 통해 문화 정보에 빠르게 접근하고 문화 정보를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획했습니다.


02
PCN UI/UX 컨설팅을 통해 사용자 니즈를 최대한 반영하다
본 프로젝트의 가장 큰 특징은 PCN UI/UX 컨설팅을 통해 문화포털이 사용자에게 무엇을 보여주어야 하는지에 대해 규정하고, 해당 내용을 개편에 반영했다는 점입니다. 반영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화정보와 혜택이 한눈에 들어오도록 만든 서비스
• 매주 문화포털이 추천하는 최신 문화체험소식 및 문화지식 정보
• 더 쉽고 빨라진 문화정보 검색
• 간단한 절차에 따른 전통문양 내려받기 서비스
• 문화 TV로 즐기는 실시간 공연실황


03
문화포털 브랜드 강화를 위한 초석, 문화포털 리뉴얼
본 리뉴얼을 통해 새로운 UI/UX가 적용되면서 사이트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개편은 사용자의 사용성 및 편의성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문화포털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시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제작된 콘텐츠 노출과 다양하게 진행된 홍보 서비스를 통해 많은 사용자가 유입되면서 문화포털의 브랜드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MEMBERS
윤만호 장지운 이성진 배지혜 외 다수
공공누리 포털 운영 및 고도화 프로젝트 썸네일

공공누리 포털 운영 및 고도화 프로젝트


공공누리 포털
운영 및 고도화
프로젝트
공공누리 포털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4가지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통해 개방한 공공저작물 정보를 저작권 침해 부담 없이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통합 서비스입니다.
URL
www.kogl.or.kr
SECTION
공공
CLIENT
한국문화정보원
OPEN
2015.12
공공누리 포털 운영 및 고도화 프로젝트 PC, 스마트폰 배경 메인 이미지

공공누리 포털 공공저작물 통합검색 이미지

01
공공저작물 수집 정확도를 높이다, 공공누리 포털
기존에는 해당 기관에서 일일이 공공저작물 정보를 수동으로 했습니다. 이런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2014년 우선적으로 국가, 지자체, 공공기관에서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부착해 개방하는 저작물(게시물) 정보를 수집하여 공공누리 포털에 자동으로 연계되도록 웹 크롤링 기반의 공공저작물 메타정보 수집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2015년 고도화에서는 공공누리 적용 사이트별 공공저작물 메타정보 수집 누락상황을 분석하고 대응체계를 마련하고자 당사의 Data Collector 솔루션을 도입, 누락상황의 수집 매커니즘 개선 및 시스템 보완을 통한 공공누리 유형마크 부착 공공저작물 정보의 수집률 및 수집정확도 높였습니다.


공공누리 포털 공공저작물 이용 페이지 이미지

02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하는 공공누리 포털의 기대 효과
공공누리 포털은 1,032여 개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500만 건의 방대한 공공저작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9개 유형과 18개 주제로 구성된 방대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빠른 접근과 높은 직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경험을 중시하는 UI/UX를 적용했습니다. 본 프로젝트는 공공기관에서 생성된 콘텐츠에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자유롭게 이용하게 한다는 목적 아래 추진되고 있는 만큼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측면에서는 공공저작물의 이용조건이나 범위를 지켜, 공공저작물의 저작권을 보유하면서도 개방을 통한 활용성을 높이고, 표준화된 약관을 사용함으로써 공정성을 지키고 저작권 분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일반 이용자 측면에서는 이용허락절차가 간소화되어 신속하게 원하는 공공저작물로의 접근 및 무료 이용이 가능하며, 공공누리의 이용조건을 준수함으로써 저작권 침해 부담에서 벗어나는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MEMBERS
이금탁 신경철 최승일 김보선 문혜미
Back to top